Nature & Edu

그래샴(Grasham)의 법칙

전쟁과 평화 2016. 1. 27. 23:04



 

어딜 가 보나 꼭 물 흐리는 것 들은 있기 마련이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물을 흐린다고 했던가, 물 흐리는 것들 때문에 좋은 것들은 사라지고, 물 흐리는 것들만 그 자리에 남게 된다는 것.


이러한 상황을 지칭하여 영국의 경제학자 그래샴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고 표현. 이를 그래샴의 법칙이라 한다.


그래샴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현상에서 나왔다고 한다.


근세에 영국의 화폐가 너무 낡아 새 화폐를 주조한다.

그런데 전에 발행되던 화폐에 비해 금 함유량이 현저히 떨어졌다. 그러자 사람들은 금 함유량이 높은 예전 화폐는 모셔두고 금 함유량이 낮은 새로운 화폐만 유통시킨다.


금 함유량이 낮은 신화폐가 금 함유량이 높은 구 화폐를 대신하는 현상을 두고, 그래샴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고 표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은 꼭 화폐유통에 있어서만 벌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제 예를 들어보면,


미팅에 폭탄(악화) 들이 득실거리기 시작하면 퀸카와 킹카(양화)들은 미팅에 안 나가게 된다.


어떤 클럽 기도가 물 관리를 잘 못해서 깨는 사람(악화)들이 몇 명 들어와서 물이 구려지면, 물 좋은 사람(양화)들은 그 클럽에 안 가게 되고.


조용히 공부하는 학생(양화)들이 도서관에서 학습 분위기를 해치는 날라리(악화)가 설치면 조용히 공부하던 학생들은 다른 곳으로 자리를 옮겨 공부를 하러 가게 된다.


고급스런 유흥가에 삐끼들이 설치기 시작하면 고급술집들은 딴 동네로 옮겨가고 그 동네에는 단란주점만 남고, 또한 조용한 주택가에 유흥주점이 들어오면 주택가에 살던 사람들은 이사를 가고, 집값이 떨어진다.


금융시장에서 부실채권, 공수표 남발하는 사람이 설치면 우량 채권을 가진 사람들은 금융시장에서 사라진다.


이렇게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경우가 그래샴의 법칙이 되겠다.

--------------


그래샴의 법칙은 꼭 화폐에만 한정되지 않습니다. 위의 예와 같이 모든 현상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계속 양질의 상태로 유지하려면 악화를 골라내고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역사는 그렇게 흘러가지는 않습니다.

 

Shape of My Heart / Song By, Sting

 

https://youtu.be/S1xjq-QUOiM



'Nature & 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과 알파고   (0) 2016.03.11
Banker‘s 老百姓(서민)  (0) 2016.02.18
편견과 오해  (0) 2016.01.26
Rotation  (0) 2016.01.22
좋은 기업  (0) 2016.01.20